사이드 메뉴 보기

제21대 대통령 선거

HOME > 전남소개 > 도정홍보관 > 제21대 대통령 선거

소통을 통한 창의 도정을 이루겠습니다.

본문 시작

제21대 대통령선거. 투표로 화합하는 대한민국 참여로 지키는 소중한 권리. 선거일 투표 : 6월 3일(화) 오전 6시~오후8시, 사전투표 : 5월 29일(목)~30일(금) 매일 오전 6시~오후6시 주요 선거일정, 투표할 수 있는 사람은?, 정책·공약 바로 알고 투표. 하단 상세내용 참조

주요 선거일정

  • 후보자등록 신청 : 5월 10일(토)~11일(일)
  • 선거인명부 열람 : 5월 11일(일)~13일(화)
  • 선거운동기간 : 5월 12일(월)~6월 2일(월)
  • 사전투표 : 5월 29일(목)~30일(금) 매일 오전 6시~오후 6시
  • 선거일 투표 : 6월 3일(화) 오전 6시~오후 8시

투표할 수 있는 사람은?

18세 이상(2007년 6월 4일에 태어난 사람까지)의 대한민국 국민

정책·공약 바로 알고 투표

  • 후보자 정보 확인 : info.nec.go.kr
  • 정책·공약 확인 : policy.nec.go.kr
  • 후보자 토론회 다시보기 : debates.go.kr
후보자 정보 확인 : info.nec.go.kr 정책·공약 확인 : policy.nec.go.kr 후보자 토론회 다시보기 : debates.go.kr 유권자를 위한 투표편의 지원, 근로자의 투표시간 보장. 하단 상세내용 참조

유권자를 위한 투표편의 지원

  • 중증장애인 등의 투표소 이동을 돕기 위해 휠체어 리프트 등이 장착된 전용 차량 및 활동보조인 무료 지원
  • 거동이 불편한 유권자가 출입하기 어려운 투표소에 임시기표소 운영
  • 시각 또는 신체의 장애로 직접 기표가 어려운 선거인은 그 가족(1인도 가능) 또는 본인이 지명한 2인의 도움 받아 투표 가능
  • 병원·요양소에 머물거나 신체장애로 움직이기 어려운 사람 등은 거소투표신고 후 거주지에서 우편으로 투표가능
  • 거주불명등록자는 행정상 관리주소인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(주민센터)에서 투표안내문과 후보자 선거공보 수령 가능

근로자의 투표시간 보장

  • 근로자는 사전투표기간(5월 29일 ~ 5월 30일)과 선거일(6월 3일) 모두 근무할 경우 고용주에게 투표에 필요한 시간 청구 가능

    고용주는 근로자의 투표시간 청구가 있으면 이를 보장해 주어야하고, 근로자가 투표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을 청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선거일 전 7일(5월 27일)부터 선거일 전 3일(5월 31일)까지 인터넷 누리집, 사보, 사내게시판 등을 통해 알려야 함
    ※ 근로자의 투표시간을 보장하지 않는 고용주에게는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됨

사전투표. 하단 상세내용 참조

사전투표

  • 일시 : 5월 29일(목) ~ 30일(금) 매일 오전 6시 ~ 오후 6시
  • 장소 : 전국에 설치된 사전투표소 어디에서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누리집(nec.go.kr)에서 확인 가능
    ※ 사전투표소에서는 투표사무원이 관내·관외선거인을 구분하여 안내
  • 준비물 : 신분증(관공서 또는 공공기관이 발행한 사진이 첨부된 신분증명서)

    주민등록증, 여권, 운전면허증, 공무원증, 국가보훈등록증, 장애인복지카드, 국가기술자격증(산업인력공단), 청소년증, 각급 학교의 학생증(사립학교 포함) 등
    ※ 위의 신분증 중에 모바일 신분증이 있는 경우 모바일 신분증도 가능(단, 화면 캡처 등 저장한 이미지 사용불가)
    ※ 그 밖의 신분증은 구·시·군위원회로 문의

관외선거인

관내선거인이 아닌 선거인

  1. 1. 관외 선거인 출입구로 입장 후 본인확인 및 투표용지 받는 곳에서 신분증 제시 및 본인확인 본인확인기에 손도장 또는 서명입력
  2. 2. 본인확인 및 투표용지 받는 곳에서 투표용지와 주소라벨이 부착된 회송용봉투 받음
  3. 3. 기표소에서 기표용구로 기표 후 투표지를 접어 회송용봉투에 넣고 봉함
  4. 4. 투표함에 회송용봉투를 관외사전투표함에 넣음
  5. 관내선거인

    자신의 주소지 구·시·군위원회 관할구역 내에 설치된 사전투표소에서 투표하는 선거인

    1. 1. 관내 선거인 출입구로 입장 후 본인확인 및 투표용지 받는 곳에서 신분증 제시 및 본인확인 본인확인기에 손도장 또는 서명입력
    2. 2. 본인확인 및 투표용지 받는 곳에서 투표용지 받음
    3. 3. 기표소에서 기표용구로 기표 후 기표내용이 보이지 않도록 투표지 접음
    4. 4. 투표함에 투표지를 관내사전투표함에 넣음
선거일 투표. 하단 상세내용 참조

선거일 투표

  • 일시 : 6월 3일(화) 오전 6시 ~ 오후 8시
  • 장소 : 지정된 투표소
    ※ 각 세대에 발송되는 투표안내문에서 확인 가능
  • 준비물 : 신분증(관공서 또는 공공기관이 발행한 사진이 첨부된 신분증명서)

    주민등록증, 여권, 운전면허증, 공무원증, 국가보훈등록증, 장애인복지카드, 국가기술자격증(산업인력공단), 청소년증, 각급 학교의 학생증(사립학교 포함) 등
    ※ 위의 신분증 중에 모바일 신분증이 있는 경우 모바일 신분증도 가능(단, 화면 캡처 등 저장한 이미지 사용불가)
    ※ 그 밖의 신분증은 구·시·군위원회로 문의

선거일투표 절차

  1. 1. 입구 본인혹인하는 곳에서 신분증 제시 및 본인확인 선거인명부에 서명하거나 날인 또는 손도장
  2. 2. 투표용지 받는 곳에서 투표용지 받음
  3. 3. 기표소에서 기표용구로 기표 후 기표내용이 보이지 않도록 투표지 접음
  4. 4. 투표지를 투표함에 넣음

주의하세요! 기표소 안에서 투표지를 촬영하면 안 됩니다.

※ 투표지를 촬영하는 경우 공직선거법에 따라 처벌, 투표할 때에는 반드시 기표소에 마련된 기표용구를 사용해야 하며, 도장을 찍거나 다른 표시를 하면 무효가 됩니다.

정치인의 기부행위! 받는 것도, 요구하는 것도 할 수 없습니다. 선거 관련 금전, 물품, 관광, 음식물 등을 받으면 과태료 최고 3천만 원, 기부 행위 등 선거법 위반 신고하면 포상금 최고 5억 원, 선거법규 안내 및 위반행위 신고 전국 어디서나 1390. 선거정보 확인하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누리집(nec.go.kr)을 방문하시면 자세한 선거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누리집 연결 QR코드
  • 콘텐츠 관리부서 자치행정과 (061-286-3521)
  • 최근업데이트 2025-05-13

Q.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?

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십시오.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.

의견등록

로딩중